footer
  • 2023. 5. 8.

    by. 성장지도

    경제학의 역사와 산업혁명은 어떻게 하여 시작되었고 발전해 왔는지 이번 시간을 통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경제학은 오랜시간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습니다. 인간은 의식주의 문제가 항상 존재해 왔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산과 분배 방식이 발전하여 그 안에서 경제학이란 학문이 연구되었습니다. 무역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자원과 무역의 관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면서 경제 이론도 함께 발전한 것이지요.

    경제학의 기원

    경제학은 수세기에 걸쳐 대륙을 아우르는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제학의 뿌리는 그리스, 로마, 중국 등 고대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 사회는 무역, 과세, 금전 대차 등의 문제에 대처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경제학 분야는 1776년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이 출간된 18세기에 들어서면서 형성되었습니다. 스미스의 저작은 시장, 전문화, 분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근대 경제학의 기초를 닦았습니다. 스미스는 개인이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최대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온다고 주장했습니다. 스미스의 사고방식은 이후 경제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경제이론의 중심 개념이 되었습니다.

     

    그 후 고전파 경제학, 신고전파 경제학, 케인즈파 경제학, 그리고 최근에는 행동경제학 등 다양한 경제학이 생겨났습니다. 고전파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리카도와 토마스 맬서스는 가격 결정에서 수요와 공급의 역할에 주목하며 자유무역과 자유방임주의를 주장했습니다.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은 고전파 경제학을 기초로 경제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수학적·통계적 기법을 도입했습니다.

     

    산업혁명의 시작

     

    경제와 산업혁명의 관계

    산업혁명은 18세기 후반 영국을 비롯한 미국과 유럽등 전 세계의 걸쳐 퍼져나갔습니다. 상품과 서비스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증기 기관과 같은 신기술이 출현하면서 육체 노동에서 기계 기반의 시스템으로 전환이 일어났습니다.

    그로 인해 산업혁명은 경제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초기 경제는 농업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지만 산업혁명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장과 같은 산업환경에서 일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이전 보다 더 발전된 상품과 서비스가 생산되었습니다.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창출

    산업혁명은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창출로도 이어졌습니다.공장의 발흥과 상품의 대량 생산으로 인해 새로운 고용 기회가 생겨났고, 사람들은 이전까지의 농경 경제보다 높은 임금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섬유와 철강 등 새로운 산업도 생겨나 경제성장에 더욱 기여하여 되었죠.

    생산성 향상과 효율화

    새로운 기술과 기계의 도입은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으로도 이어졌습니다.기계가 있으면 더 빠르고 적은 노력으로 상품을 생산할 수 있어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그 결과 기업의 수익이 향상되어 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세계화와 시장 확대

    산업혁명은 세계화와 시장 확대로 상품의 대량 생산으로 기업은 상품을 다른 나라에 수출할 수 있게 되어 국제 무역이 활발해졌습니다. 이것이 한층 더 경제성장에 공헌해 해운이나 물류등의 새로운 산업의 출현을 앞당겨 왔습니다.

     

    산업혁명이 경제학에 미치는 영향

     

    자본주의 투자

    산업혁명에 경제학이 끼친 가장 큰 영향 중 하나는 자본주의와 투자의 대두입니다. 새로운 산업이나 기술의 출현에 의해, 투자가는 돈벌이의 기회라고 생각해 상품의 대량 생산과 관련된 사업에 고액의 투자를 실시했습니다. 이것이 자본주의의 발전으로 이어져 경제성장을 더욱 촉진시키게 됩니다.

    경쟁과 혁신

    산업혁명에 경제학이 미치는 또 다른 영향은 경쟁과 혁신이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기업들은 더 빠르고 저렴하게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경쟁은 기술 혁신으로 이어지며, 경쟁 기업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과 방법을 개발하게 됩니다.

    전문화와 노동시장

    산업혁명으로 생겨난 분업과 전문화에도 경제학은 한몫하고 있습니다. 상품의 대량 생산에 따라 기업은 특정 작업에 특화된 노동자를 필요로 했습니다. 이 때문에 노동자들은 자신의 기능이나 능력에 따라 특정 일을 할당하는 분업제를 취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경제학과 산업혁명을 마무리 하며,..

    산업혁명 이전에는 수작업으로 생산이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생산량이 제한되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기계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경제적 번영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가격도 낮아졌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 많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소비의 증가로 경제가 성장하게 된것입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생산방식이 변화하면서 노동자들의 역할도 변화했습니다. 기계를 이용한 생산은 노동자들의 업무를 대부분 자동화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생산 라인에서의 역할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노동자들의 실업 문제가 발생하면서 경제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산업혁명은 경제학에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면서 경제학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경제학의 이론과 방법론을 발전시켰습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경제학이란?  (1) 2023.05.10
    경제 시스템 특징과 이점  (0) 2023.05.09
    거시경제학이란?  (0) 2023.05.07
    미시경제학이란?  (1) 2023.05.06
    경제학이란?  (0) 202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