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경제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제초보 님들을 위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포스팅에 정리해 보도록 합니다. 물가만 이해하고 계신다면 웬만한 경제흐름은 모두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풀어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물가의 흐름을 시작으로 쉽게 정리한 경제상식
경제는 사실 크게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경제 메커니즘은 물가의 흐름을 알면 쉽게 공부하실수 있는데요
우선 물가는 금리에 영향을 주고, 금리는 경제에 영향을 줍니다. 물가, 금리, 경제 이 3가지의 단계에 흐름만 파악하신다면 웬만한 경제의 원리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를 구성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물가는 보통 물건의 가격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것보단 물가는 '물건의 가격을 통해 현재 특정 상품의 가치가 어느 정도 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지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조금 더 알기 쉽게 설명해 보자면 콘 아이스크림 한 개의 가격이 2,000원으로 오르면 콘 아이스크림이 2,000원이 됐다가 아니라 원래 1,000원으로 아이스크림을 한 개 살 수 있었는데 천 원이 가치가 떨어져 콘아이스크림 반 개치 밖에 못 사는 상황을 물가가 올랐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용어로 설명해 드리자면,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고, 물가가 하락하는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으로 그만큼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있다는 뜻이고 그렇게 확장되고 있는 상황을 인플레이션 게이지라고 뜻합니다. 그럼 디플레이션은 그 반대가 되겠죠? 시중에 풀려 있는 돈이 줄었다 즉 돈의 가치가 올라갔다가 되겠습니다. 디플레이션이 오면은 돈을 들고만 있어도 항상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사람들은 소비를 안 하게 되고 계속해서 저금만 하게 되겠죠.
다음은 물가상승과 경기침제를 뜻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혹시 디플레이션 화폐라고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위에서 디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고 했죠 그럼 디플레이션 화폐는 가지고만 있어도 가치가 올라가는 화폐를 디플레이션 화폐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금, 비트코인이 있을 수 있겠죠? 수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겁니다.
보유만 하고 있어도 가격이 계속 올라가게 되면 사람들은 아무도 그 시장에 참여하지 않고 보유만 하려고 하니까 소비가 위축되게 됩니다. 위축된 소비는 경제성장을 방해하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연합회를 싫어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 화폐는 인플레이션 하트 라고 합니다. 가지고 있을수록 가치가 떨어져요. 그냥 두면 계속 손해를 보게 되는 셈이 되는 거죠. 소비를 계속해서 하도록 하는 거예요. 돈이 바쁘게 움직이면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가 발전하게 되는 것이랍니다.
두 번째로는 물가와 금리의 관계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가는 앞서 물건의 가격이라고 보기보단 돈의 가치로 바꿔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고, 물가가 떨어지면 가치가 올라간다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여기서 돈의 가치라고 하면 금리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금리가 올라간다는 건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뜻입니다. 금리가 높아진다는 거는 은행에 돈을 맡기게 되면 은행에서 이자를 더 많이 준다는 이야기로
그만큼 현금의 가치가 높게 쳐준다는 것입니다. 은행은 입장에서는 우리한테 현금을 맡겨 그럼 내가 이전 금리보다 더 높게 처 줄게 가 되는 것인데 그래서 금리인상을 하면 다들 돈을 모으려고만 하는 거죠.
결국에는 금리가 올라가는 거는 현재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라고 생각하시면 훨씬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다시 한번 예을 들어 볼까요? 금리를 인상하기로 했다는 것은 돈의 가치를 올린다는 뜻과 같죠. 그럼 결론은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돈의 가치를 억지로 끌어올려야 한다 라는 겁니다. 핵심은 물가가 오르고 금리가 오른다. 우리가 외워야 할 공식 중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그거에 맞춰 올라갈 것이라고 미리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런 공식이 나온 이유에 대해서는 위에 과정을 통해서 설명해 드렸죠. 이제부터는 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겠구나 예상하시고 실제로도 물가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이번 경제초보 이야기는 총 2편의 걸쳐 포스팅될 예정이니 다음 2편 글에서 나머지 이야기를 확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정부기여금 확인하기 주의할 사항 (0) 2023.06.17 대한민국의 경제성장 한강의 기적 (0) 2023.05.29 기축통화국의 이해와 자국통화와의 차이점 (세뇨리지 효과) (0) 2023.05.28 현대 경제학의 기초를 세운 아담 스미스(Adam simth) 탐구 (0) 2023.05.23 환율의 이해와 환전을 가장 효과적으로 하는 전략 (0) 2023.05.22